2022.03.07 - [Springboot] - [SpringBoot] IntelliJ Community에서 Spring Boot 프로젝트 만들기 [SpringBoot] IntelliJ Community에서 Spring Boot 프로젝트 만들기 Spring Initializr에 들어가서 Spring Boot 프로젝트를 쉽게 만들 수 있다. https://start.spring.io/ 이 사이트에 들어가서 적절한 옵션을 선택해준다. Group은 보통 회사이름 거꾸로, Artifact는 프로젝트명을.. wouldyou.tistory.com 이전 포스팅에서 SpringBoot 프로젝트를 생성해봤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우리가 Dependencies로 선택했던 Spring Web을 가져오면, 어떤 것들이 깔리는..
뷰쪽 템플릿을 뭘 쑬까 고민하다가 thymeleaf를 써보기로 했다. Spring에서 많이 쓰던 jsp는 SpringBoot에서는 잘 안쓴다. 공식 문서에도 나와있다. https://docs.spring.io/spring-boot/docs/current/reference/html/web.html#web.servlet.spring-mvc.template-engines Spring initializr에서 dependency에 thymeleaf를 추가해주면 프로젝트 생성할 때부터 추가되어 있다. 그냥 build.gradle에 dependency를 추가해도 된다.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hymele..
Package Manager 지금까지는 javascript라이브러리를 github에서 찾아서 직접 파일을 다운로드 한 후 프로젝트에 넣어줬다. 하지만 npm이 있으면 이런 작업이 필요없다. 그냥 npm install 패키지명을 치면 라이브러리가 다운로드된다. 이렇게 패키지를 관리해주는 툴을 Package Manager라고 한다. java진영에서 쓰는 maven같은 거라고 생각하면 된다. 최근에는 npm과 yarn을 주로 쓴다. 둘다 비슷하지만 yarn이 모든 프로젝트에서 똑같은 버전이 깔릴것을 보장하기 때문에 보안 측면에서 좋다고 한다. 하지만 npm이 점유율이 높다. 우리는 npm을 설치해보자 Node.js다운로드 npm을 따로 다운로드 할 수 있지만, 복잡하다. 그냥 node.js를 다운로드받으면, ..
Spring Initializr에 들어가서 Spring Boot 프로젝트를 쉽게 만들 수 있다. https://start.spring.io/ 이 사이트에 들어가서 적절한 옵션을 선택해준다. Group은 보통 회사이름 거꾸로, Artifact는 프로젝트명을 뜻한다. Generate를 누르면 zip파일이 다운로드된다. zip을 풀어보자 다음과 같이 build.gradle 이 있다. 오른쪽 마우스를 눌러 IntelliJ로 연다. 프로젝트가 생성되었다! src> main> java> ... > 에 ~~Application.java가 있을 것이다. 실행시키면(class옆 초록 삼각형을 누르거나 ctrl+shift+f10) spring이 시작되면서 서버를 실행시킬 수 있다. spring에는 톰캣이 내장되어있기 때문..
File > new > project 왼쪽의 Maven선택 JDK버전을 선택하고 Next GroupId와 AtifactId입력 GroupId는 보통 페이지 명을 거꾸로 한다. woudyou.com이면 com.would ArtifactId는 프로젝트 이름이 된다. Finish 오른쪽 하단에 프로젝트가 생성되길 기다린다. 끝. 다음 포스트에서는 spring framework를 추가해보자.
웹 생태계에는 다른 출처(origin)로의 리소스 요청을 제한하는 것과 관련된 두 가지 정책이 존재한다. 바로 CORS와 SOP다. Origin, 출처 이러한 url이 있을 때 origin은 protocol + host + port를 말한다. 예시 : https://www.evan-moon.com:80 https://www.evan-moon.com:80 https://www.evan-moon.com/about https://www.evan-moon.com/about?name=ghost 세가지는 모두 같은 출처로 본다. SOP(Same-Origin Policy) “같은 출처에서만 리소스를 공유할 수 있다”라는 규칙을 가진 정책이다. 즉, 원래 웹에서는 같은 출처(origin)에서만 리소스를 공유할 수 있다..
html2canvas에서 지도의 캡처를 찍으려고 했는데, 이상하게 카카오지도 부분만 나오지 않았다. 알아보니, html2canvas에서 외부이미지는 CORS정책 때문에 캡쳐가 안된다고 한다. 내 쪽 서버의 origin과 이미지 요청에 대한 응답 서버의 origin이 맞지 않아서 브라우저에서 막기 때문이다. CORS에 대한 내용은 아래에서 확인하자. https://wouldyou.tistory.com/37 [Web] CORS란, CORS오류 해결 웹 생태계에는 다른 출처(origin)로의 리소스 요청을 제한하는 것과 관련된 두 가지 정책이 존재한다. 바로 CORS와 SOP다. Origin, 출처 이러한 url이 있을 때 origin은 protocol + host + port를 말한다. 예시 :.. wou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