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code를 사용하다보면, 어떤 코드는 tabSize가 2칸, 어떤 코드는 4칸이다. vscode에서는 코드를 받으면 자동으로 indentation이 몇칸인지 감지해서 설정을 바꿔주는데, 자꾸 설정이 바뀌니까 indent-rainbow 나 prettier등의 extension을 쓰는 사람들은 꽤 불편하다. 나는 2칸을 선호하므로, 어떤 코드이던 무조건 space 2칸이 되도록 설정해보자. ctrl + shfit + p 를 눌러서 setting.json에 들어가자 아래와 같은 코드를 추가한다. // The number of spaces a tab is equal to. This setting is overridden // based on the file contents when `editor.detect..
Immutable & Mutable immutable은 바뀔 수 없고 read-only 라는 뜻이다. number, string등의 원시 타입 값들이 이에 해당된다. 반면 object는 값 자체가 바뀔 수 있다. 이러한 객체는 mutable하다고 한다. const position = { x: 0, y: 0 }; poisiton.x = 5; //mutable React의 state는 immutable하다. object처럼 mutable한 객체이더라도, immutable하게 취급해야 한다. 어떤 object를 state로 두고 값을 바꾸고 싶다고 가정해보자. 아래와 같이 object를 mutable하게 취급하여 값 자체를 바꾸면 리액트가 의도한데로 동작하지 않는다. const [position, setPos..
클라이언트의 content type과 controller의 parameter나 response type이 안맞으면 404, 415, 400, 500 등 오류가 난다. 이런 오류는 잡기 어려우므로, 관련 지식을 다시한번 정리해보자. VO parameter에 VO가 온다. 아무 어노테이션이 붙지 않아도 jackson이 getter setter를 이용하여 VO에 값을 매핑해준다. 반면, 아무 어노테이션 없이 HashMap으로 받으려고 하면 오류가난다. VO와 다르게 getter setter가 없기 때문이다. @RequestBody body에 있는 내용을 꺼내준다. 클라이언트의 Contet-Type 에 알맞은 HttpMessageConverter가 선택되어 java객체로 변환시켜준다. body에 데이터를 넣는 ..
SpringBoot에서 DB를 연결하고 데이터를 가져오는 방법을 알아보자. SpringBoot에서 DB에 연결하려면 아래가 필요하다. JDBC driver DB connector MyBatis spring boot의 dependency를 찾는 일은 어렵다. 워낙 방대해서 그냥 블로그나, 강의에서 하라는 대로 따라하되, dependency를 추가할때는 maven repository에서 직접 가져다 추가하는게 가장 좋은 방법인 것 같다. SpringBoot에 MySql연결하기 SpringBoot MySql로 검색하거나, SpringBoot에서 직접 돌아다니며 DB연결 예제를 찾을 수 있다. https://spring.io/guides/gs/accessing-data-mysql/ Accessing data w..
java버전을 여러개 깔고 나서 티베로가 실행이 되지 않았다. 실행할 JVM을 찾지 못해서 나는 오류로 tbAdmin.ini파일에 jdk 경로를 설정해주면 해결된다. tbAdmin.ini에 다음을 추가한다. -vm C:\경로\jdk1.8.0_202\bin\javaw.exe 반드시 -vmargs위에 추가해야한다. 이클립스에서도 동일한 오류가 생길 수 있으며, 같은 방법으로 고칠 수 있다. 2022.10.04 - [java] - [java] eclipse (EgovFramework) 실행 오류 해결 [java] eclipse (EgovFramework) 실행 오류 해결 얼마 전에 java 다른 버전을 깔아서인지, eclipse가 실행이 안됐다. eclipse에서 JVM을 뭘로 시작할지 몰라서 나는 오류이다...
얼마 전에 java 다른 버전을 깔아서인지, eclipse가 실행이 안됐다. eclipse에서 JVM을 뭘로 시작할지 몰라서 나는 오류이다. 이 경우 JVM의 path를 .ini파일에 설정해주면 된다. eclipse가 깔린 위치에 들아가서 eclipse.ini파일을 찾아준다. 이 친구를 더블글릭해서 아래를 추가해준다. jdk의 경로를 설정해 주는 것이다. -vm C:\경로\jdk1.8.0_202\bin\javaw.exe 반드시 -vmargs위에 써줘야 한다!! 저장하고 이클립스를 다시 켜보면 잘 실행 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tibero를 쓴다면 똑같은 오류가 날 수 있다. 티베로 오류도 같은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다. 2022.10.04 - [java] - [java] 티베로 실행 안되는 오류 해결
React에서 절대경로를 사용하려면 jsconfig.json파일을 프로젝트 root에 만들어주면된다. 안의 내용은 아래와 같이 채워주자 { "compilerOptions": { "baseUrl": "src", }, "include": ["src"] } 이제 다른곳에서 아래와 같이 import할 수 있다. // import "../css/kakaoMap.css import "css/kakaoMap.css"; jsconfig document https://code.visualstudio.com/docs/languages/jsconfig jsconfig.json Reference View the reference for jsconfig.json. code.visualstudio.com create react ..